본문 바로가기

글로컬 /중국

원자바오 "中 내수확대 위한 장기대책 만들것"

원자바오 "中 내수확대 위한 장기대책 만들것"
중국 미래전략 제시 `톈진 다보스포럼` 막올라
"지방정부서 빌린 돈 8조 위안…큰 문제없어"
기사입력 2010.09.13 17:22:58 | 최종수정 2010.09.13 20:53:38 트위터 미투데이 블로그 스크랩

"중국은 이미 전면적 개혁 시기로 접어들었다. 앞으로도 대외 개방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겠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13일 중국 톈진 메이장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하계 다보스포럼-신흥 선도 기업인 2010 연례회의` 개막식 기조연설을 통해 "중국은 법에 따라 외국 투자기업을 중국 내국기업과 동일하게 대우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원 총리는 "내수 성장과 대외 수요 확대 간 균형을 추진할 것"이라며 "내수 특히 소비 수요 확대를 위한 장기적 메커니즘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에 대해서도 신경을 써 급작스러운 수출 비중 축소를 막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위안화 환율도 단기간 크게 절상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관측된다.

원 총리는 중국 발전전략과 관련해 "혁신과 과학기술 발전을 통해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며 경제 발전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기후 변화 등에 대응한 환경 보호를 위해 에너지ㆍ자원 절약 및 효율성 제고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ㆍ사회 균형발전, 민생 개선, 사회정의 촉진에 진력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경제 활력과 역동성을 증대시키고 개혁을 한층 깊이 해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원 총리는 중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도 표출했다. 그는 "지방정부가 정부의 직접적인 대출금지 조치를 피하기 위해 여러 경로를 통해 빌린 돈이 7조6000억위안에 달한다"며 "대부분 인프라스트럭처 투자에 쓰였고 27%만 확실한 담보가 있는 상태지만 은행 부실 채권에 대해 큰 걱정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전 세계 88개국에서 1400여 명에 달하는 정ㆍ관ㆍ학ㆍ업계 인사들이 참여했고, 아이슬란드 몰도바 파푸아뉴기니 짐바브웨 몽골 불가리아 캄보디아 등에서 정부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

`지속 가능성을 통한 성장 촉진(Driving Growth through Sustainability)`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선 과학기술ㆍ산업 부문 글로벌 리더들이 대거 참여해 지속 성장을 위한 해법도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세계 각국이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지만 유럽발 재정위기 등으로 다시 불안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결책을 찾고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를 집중했다. 초점은 녹색산업이었다.

`지속 가능성을 통한 성장 촉진` 세션에 참석한 세계적인 투자가 제임스 로저스 듀크에너지 회장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선 중장기적 계획이 필요하다"며 "계획 자체가 지속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정룽 중국 선테크파워 회장은 "녹색산업이 미래 경제에서 가장 큰 분야를 차지할 게 분명하지만 아직 각국 정부나 기업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며 "녹색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래 연구개발(R&D)은 단순한 기술 개발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는 진단도 제기됐다. 청쓰웨이 전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부위원장은 "정부의 역할이 한층 중요하다"며 "정부가 강력하게 변화를 이끌어내야 하며 초점은 녹색산업에 맞춰야 한다"고 분석했다.

`주요 20개국(G20)과 글로벌 경제 지배구조` 세션에 참가한 추이텐카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획기적 발전을 이룬 아시아 6개국을 포함해 G20 국가 절반이 개도국"이라며 "글로벌 경제 발전이 아시아로 이전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그는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금융기구 개혁과 관련해 "개발도상국의 이해를 반영할 수 있게 지배구조 개혁이 필요하다"며 "중국 외에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이 부상하고 있지만 개별 국가에 지나치게 초점이 맞춰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제 경제 안정을 위해 선진국들이 노력해야 하며 더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는 얘기다.

마리 엘카 판게츠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도 "아시아 국가들이 국제 금융기구 내에서 목소리를 확대해야 한다"며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공고히 하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포럼에선 △과학기술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미래 시장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경제ㆍ사회 모델과 협력 방안 △업종ㆍ지역별 지속 성장 방안 등 4가지 대주제가 집중 논의된다.

특히 과학기술 경쟁력과 관련해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싱가포르 국립대 등에서 전문가들이 나서 기업과 정부가 환경기술 개발ㆍ응용을 위해 협력하는 길을 제시한다. 또 저탄소형 비즈니스 모델 구축, 보호무역주의ㆍ경제민족주의 등을 피해 각국이 어떻게 협력할지,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이 협조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자연자원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도 모색한다. 매년 초 스위스에서 열리는 다보스포럼에 세계 1000대 기업 최고경영자들이 참석하는 데 비해 하계 다보스포럼에는 매출액 1억~50억달러 규모의 신흥기업, 신기술개발자, 신흥국 정치ㆍ행정 리더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나눈다.

[톈진 = 장종회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