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층체계/커뮤니케이션

플랫폼 - 콘텐츠 사업자…갈등 그만, 상생 나서야

플랫폼 - 콘텐츠 사업자…갈등 그만, 상생 나서야
◆ 미디어 빅뱅 / 제2부 유료방송 키워야 미디어가 산다 ◆

케이블TV사업자(SO)ㆍ위성방송ㆍIPTV 등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불가분의 동반 관계다. 플랫폼 사업자는 기본적으로 방송할 콘텐츠가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하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송채널사업자는 플랫폼 도움 없인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없다.

그러나 케이블TV 사업자ㆍ위성방송 등 플랫폼 사업자와 PP는 수신료 배분방식, 결합상품 요금 할인 등으로 항상 긴장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갈등의 핵심에는 수신료가 있다. 수신료란 말 그대로 콘텐츠를 전송해주는 대가로 플랫폼 사업자가 PP에 지급하는 대가다.

수신료를 둘러싼 둘의 입장은 뻔하다. 플랫폼 사업자는 한 푼이라도 적게 주려고 하고, 반면 PP는 최대한 많이 받으려고 한다. `수신료` 갈등이 계속되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시청자로부터 받는 수신료의 25%를 PP에 배분하라는 가이드라인까지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종합편성채널의 등장으로 미디어 빅뱅이 예고되는 이 시점에선 새로운 틀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 글로벌 방송통신 규제가 플랫폼과 콘텐츠를 가르는 `수직적인 규제`에서 플랫폼과 콘텐츠를 한데 묶는 `수평적 규제`로 바뀌는 마당에 양쪽의 갈등은 서로에게 도움이 안 된다는 것.

특히 구글의 스마트TV 등 방송 시장을 뒤흔들 만한 거대 `쓰나미`가 몰려오는 상황에서 서로 머리를 맞대지 않으면 해당 플랫폼의 생존마저 장담하기 어렵다.

PP업계 관계자는 "지금처럼 스마트폰 등 미디어 플랫폼이 점차 다양화되면 플랫폼 사업자가 언제까지 고압적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며 "앱스토어를 통해 전 세계에 방송할 수 있는 만큼 심지어는 `플랫폼 무용론`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케이블TV 업계는 지상파 방송이라는 커다란 벽이 놓여 있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에 편중된 국내 방송 시장을 바로잡기 위해서도 플랫폼 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 간 협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사업자는 PP들이 경쟁력을 갖춰 생존할 수 있도록 수신료 정상화 등에 적극 나서야 하고, 콘텐츠 사업자는 케이블ㆍ위성방송ㆍIPTV 등 각 플랫폼에 맞는 콘텐츠 개발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

박천일 숙명여대 교수는 "채널편성을 일방적으로 변경하는 등 플랫폼 사업자 중심의 일방적인 관계로는 유료방송시장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없다"며 "플랫폼 사업자들도 위상에 걸맞게 사회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케이블TV방송협회는 올해를 SO-PP 상생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디지케이블포럼`을 개최하는 등 상생의 길을 찾고 있어 주목된다.

[특별취재팀=윤상환 팀장 / 황인혁 기자 / 손재권 기자 / 이승훈 기자 / 한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0.07.21 16:49:44 입력, 최종수정 2010.07.21 19:4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