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네트워크/정책 R&D

`원아시아` 국책연구소 세운다

`원아시아` 국책연구소 세운다
민간전문가 대거 참여…베이징등 해외에 분소 현장밀착 연구

정부가 `원 아시아` 경제협력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아시아지역연구소(가칭)`를 설립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중국과 인도 등 세계 경제에서 갈수록 비중이 커지고 있는 아시아권에 대해 연구 인력과 조직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을 활용해 산하 연구조직으로 먼저 출범시키고 향후 별도 연구기관으로 확대 개편한다는 밑그림을 그린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KIEP 산하 세계지역연구센터에서 중국과 아시아 관련 연구를 하고 있지만 연간 지원 예산이 50억원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하다.

정부는 이번 연구소 설립시 민간 전문가들의 참여를 비중있게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KOTRA 등의 도움을 받아 수요자 중심의 중국 연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다.

또 베이징 등 현지 거점에 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해 아시아 지역 정책 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다. 경제 연구가 중심이지만 정치, 사회, 문화 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계획이다.

특히 정부가 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번 연구소 설립 추진의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 대한 정보가 턱없이 부족했고, 중국 연구기관들과 네트워킹이 거의 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매일경제는 2007년 `한국판 아시아경제연구소`를 만들자고 제안한 바 있다. KIEP 외교안보연구원 국가정보원 수출입은행 KOTRA 무역협회 등 아시아 지역 연구파트를 따로 떼내 이런 연구소를 설립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부는 일본, 중국, 인도 등에서 아시아 연구 관련 조직을 늘리고 있는 움직임도 감안했다.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IDE),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아태연구소, 인도 첸나이 중국연구센터 등이 벤치마킹 사례다.

일본 무역진흥기구(JETROㆍ우리나라 KOTRA와 유사한 기구) 산하에 있는 IDE는 방대한 JETRO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아시아권에 대한 깊이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유명하다. 이 연구소는 경제에 관한 연구 외에 정세 분석, 정보 수집 등을 통해 일본 대외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는 싱크탱크다.

일본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기 때문에 연구원들은 안정적으로 한 분야를 파고들어 지역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박용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