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컬 /중국

[한우덕의 13억 경제학] (28)‘중국, 이길 수 없으면 합류하라’ [JOINS_디지털뉴스센터]

[한우덕의 13억 경제학] (28)‘중국, 이길 수 없으면 합류하라’ [JOINS_디지털뉴스센터]

입력시각 : 2010-09-30 오후 3:32:15

천안함 사건, 댜오위다오 사건, 그리고 북한의 3대세습...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그 한가운데 중국이 있습니다. 중국은 시진핑(習近平)으로의 권력이양을 착실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리더십은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요? 저희 중앙일보 중국연구소가 '21세기 중국 리더십의 향방'을 주제로 포럼을 여는 이유입니다. 중국 리더십 연구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썬톤차이나센터의 연구주임 리청(李成)박사가 강연하게 됩니다. 몇 자리 남지 않았습니다. 지금 신청하십시요.
-주제: 21세기 중국의 리더십을 묻는다(한영 동시통역)
-일시: 2010년 10월 5일 오후 2~5시(오후1시30분 등록), 장소: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주최: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후원:㈜한국인삼공사, 동북아역사재단
-참가 신청: 성함( ), 희망 도서: 2010~2011 차이나 트렌드( ) or 공자는 귀신을 말하지 않았다( )
-신청 메일 주소: jci@joongang.co.kr (문의) (02)751-5243

***********
오늘의 칼럼을 시작합니다.
***********

둥팡(東方)CJ라고 아시지요? 한국 CJ홈쇼핑이 상하이미디어그룹(SMG)과 설립한 홈쇼핑체널입니다.

최근 이 체널에서 자동차 BMW를 팔았습니다. 한 대 40만 위안(약 7000만 원)하는 고급 세단이었습니다. 잘 팔릴까? 모험이었습니다. 45분 방영을 했습니다. 결과는 의외였습니다. 61대를 계약했지요. 약 42억 원이 거래된 겁니다.

'어, 되네' 이번에는 더 큰 모험을 합니다. 상하이 외곽에 짓고 있는 타운하우스(고급 빌라)였지요. 300만 위안(약 5억2500만 원)에 달하는 타운하우스를 TV홈쇼핑으로 팔겠다고? 영업 담당 직원들조차 반신반의하는 분위기 였지요. 밑져야 본전, 하기로 했습니다.

타운하우스의 구조, 건설 현장 등을 설명하는 프로가 30분간 이어졌습니다. 놀랄만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문의 전화에 불이 난 겁니다. 48채의 주문이 접수됐고, 이 중 27채가 최종 계약됐습니다. 30분 홈쇼핑 방영으로 142억 원 정도가 거래된 셈입니다.

둥팡CJ의 설립에 참여했고, 지금도 CEO로 일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김흥수 대표입니다. 중국 홈쇼핑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이지요. 그는 이같은 현상을 두고 이렇게 말합니다.

"상하이 구매력의 폭발이다. 그동안 축적됐던 부(富)가 최근 수년 사이 시장에서 분출하고 있다. 소비 욕구만 만족시킨다면 팔 물건은 얼마든지 있다."


다른 얘깁니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취재길, 시내 IT 제품 전문매장인 로얏에 들렀습니다. 델(Dell) 노트북컴퓨터를 가슴에 안고 나오는 웡치우멍(28)에게 “어느 나라에서 만든 컴퓨터냐”고 물었지요. “당연히 말레이시아 페낭이지”라는 답이 돌아옵니다. 델 컴퓨터의 60% 이상이 페낭에서 만들어져 왔기 때문이랍니다. 컴퓨터 뒷면 라벨을 보자고 했지요. 그는 깜짝 놀랍니다. ‘Made in China’라는 원산지 표시를 발견한 것이지요. “페낭이 아니라고?” 실망감이 얼굴에 역력합니다.

페낭이 아니라면 어디란 말인가?

답은 상하이입니다. 시내에서 30분 정도 떨어진 쑹장(松江) 개발구. 이곳에 자리잡은 컴퓨터업체 광다(廣達)에 들어가니 하적장에 델 컴퓨터가 가득합니다. “오늘 오후 동남아로 갈 수출 물량입니다.” 배송 담당 리즈량(李志良)의 설명입니다. 그 중에 쿠알라룸푸르 로얏 매장으로 가는 컴퓨터도 있을 터, 웡치우멍이 샀던 컴퓨터는 바로 상하이에서 만들어졌던 겁니다.

상하이를 중심으로 쿤산・쑤저우・항저우 일대에서 생산되는 컴퓨터는 전 세계 생산량의 80%에 달합니다. 전세계 노트북의 중 십중팔구는 'Made in Shanghai'인 셈이지요.




최고의 중국 투자기업을 찾습니다!
저희 중앙일보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한・중 기업경영 대상’을 제정합니다. 중국 투자사업의 바람직한 사업모델을 발굴, 성공 노하우를 공유하자는 차원입니다. 비즈니스모델의 창신성, 중국과의 상생정도, 재무 성장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선정된 업체에는 지식경제부장관상, 주한 중국대사상, 중앙일보 사장상 등이 주어집니다. 성공사례는 저희 중앙일보와 중국 경제일보 등에 소개됩니다. 언론에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관련 서류를 다운받아 작성해 보내시면 됩니다. 1시간이면 모두 작성할 수 있도록 가급적 서류를 간소화했습니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많은 응모와 참여 기다립니다.
◆신청 자격 : 중국 진출 한국 기업(법인단위)
◆신청 마감 : 10월 7일 (시상식 12월 7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
◆접수 문의 : ‘한・중 기업경영 대상’사무국(www.kita.net, 02-6000-5394)참조
중앙일보 중국연구소(http://china.joins.com, 02-751-5242)

제가 오늘 두 얘기를 통해 뽑아낸 키워드는 '통합'입니다.우리는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목이 갈라지도록 얘기합니다. 그러나 거기가 끝은 아닙니다. 제조업 환경 역시 새롭게 변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일관 생산해서 중국 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체제가 형성되고 있는 겁니다.

현대자동차에서 답을 찾아보도록 하지요.

이 회사가 중국에서승용차를 생산하기 시작한 게 2003년 초였습니다. 당시 베이징 순이(順義)공장에서 생산되는 쏘나타 부품 중 중국 내 조달 비율은 40%에 불과했습니다. 나머지 부품은 한국에서 가져와야 했지요. 지금은 거꾸롭니다. 전체 부품 중 91%를 중국에서 공급받고, 나머지 10%를 한국에서 들여옵니다.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중국에서 부품을 조달하고, 완제품을 중국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진정한 의미의 ‘현지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얘깁니다.

'통합(統合)'의 흐름을 탔기에 가능했던 얘기입니다. 변화의 과정은 이렇습니다. 기존 중국 산업은 ‘분절(分節)’된 구조였습니다.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는 부품은 주로 일본・한국・대만 등에서 수입하고, 중국에서는 조립만 담당했지요.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황에서 저임 노동력이 풍부한 중국이 선택할 수 있는 산업구조였습니다. 그러나 중국 부품업체들이 서서히 기술력을 갖추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합니다. 중국은 이제 ‘부품도 내 나라 안에서 만들어야겠다’고 선언하고 나선 것이지요. 모든 생산공정을 자국 내에서 맡겠다는 ‘풀셋(Full-set・완비된)’ 공업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겁니다.

제조업내 통합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까지 중국의 기업(외국투자기업 포함)은 생산제품을 주로 해외시장에 수출했습니다. 물론 지금도 수출비율이 높습니다. 그러나 바뀌고 있습니다. 중국의 내수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내수매출 비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국 내수시장에 뿌리고 있는 것이지요. 그게 바로 공장과 시장의 통합입니다.

현대자동차는 그 흐름의 물결을 탔습니다. 제조기반이 튼튼하니 시장 진출도 탄력을 받았습니다. 2003년 5만 대 판매에 그쳤던 중국 판매량은 2009년 57만 대에 달했습니다. 업계 4위자리. 지금은 국내 판매보다 중국 판매가 많은 실정입니다.

노재만 베이징현대법인 사장은 성공 요인을 묻는 질문에 ‘생산과 시장의 대통합이라는 중국 경제의 흐름에 한 발 앞서 대응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노트북도 마찬가지입니다. 상하이 쑹장의 노트북컴퓨터 업체는 주변에서 부품을 쉽게 조달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클러스터지요. 노트북 업체라면 당연시 상하이로 가야하는 겁니다. 상하이에서 생산된 노트북은 수출도 해야겠지만, 더 중요하게는 중국 내수시장을 눈여겨 봐야 합니다. 중국이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는 나라이니까요. 이미 삼성이 그렇게 하고 있고, 또 도시바가 그 길을 걷고 있습니다.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츠는 ‘중국을 이길 수 없다면 그 성장에 합류하라’고 했습니다. 오늘 한국 경제는 중국의 성장에 합류할 것이냐, 아니면 외톨이가 될 것이냐의 분기점에 와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사이에 FTA가 체결된다면 그 흐름은 더욱 빨라질 겁니다.

한우덕 기자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woodyhan@joongang.co.kr


저희 중앙일보 중국연구소는 '차이나 인사이트'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주 2회 중국 관련 다양한 뉴스와 이야기, 칼럼 등을 묶어 이메일로 전해드립니다. jci@joongang.co.kr로 신청하시면 보내드립니다. 보내실 때 성함, 하시는 일, 연락처(전화번호) 등을 간단히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