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켓 생태계/Contents Technology

황창규, "창조적 융복합 기술이 미래"

 

황창규 R&D 전략기획단장 "산업 주도 '퍼스트 무버' 돼야"

"글로벌 산업이 변곡점에 와있다. ITㆍ자동차ㆍ원자력 등 우리가 잘하는 기술이 2020년 이후에 국가를 먹여 살릴 기술이 아니다. 창조적 융복합 기술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

21일 지식경제 국가 R&D 전략기획단장으로 임명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은 이날 과천 지경부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문을 열었다. 최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경영복귀를 선언하면서 "앞으로 10년내 삼성을 대표하는 사업과 제품은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고 위기론을 강조한 것과 공교롭게도 일맥상통한다. 황 단장도 전통적 강점 산업의 종말이 코앞에 다가왔고, 현실에 안주하는 국가와 산업, 기술개발로는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는데 동의한 셈이다.

황 단장은 "세계 전자산업 성장률이 몇 년전부터 한자리수로 낮아지는 등 리딩산업 정체현상이 빚어지고 있고, 유가상승, 온난화, 인구고령화 등 지금은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는 변곡점에 와 있다"며 "세상을 바꾸고 리딩할 수 있는 기술은 산업간 융복합화 속에 창조적으로 탄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체에너지, 바이오, 나노, 신재료 등은 그동안 연구소에 있는 기술이었으나 융복합화하면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 있는 기술로 발굴해야 한다"며 "그동안 우리는 반도체, 원전 등 `패스트 팔로'(Fast Follow) 전략으로 성공했으나, 이젠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05년 애플 스티브 잡스 CEO를 만났을 때 이미 그가 아이폰의 미래를 설명해 아연실색했는데, 이같은 스마트폰은 앞으로 펼쳐질 스마트월드의 초기 진입단계에 불과하다"며 "스마트월드에서 우리나라의 기존 강점인 하드웨어 역량에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키운다면 시너지가 더 크게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나라 R&D는 양적 실적 지표로는 크게 발전해왔으나, 사업화 연계가 취약했고 단기성과에 치중했으며, 어렵고 힘든 R&D에 과감히 뛰어들 수 있도록 실패를 용인해주는 분위기는 없었다"며 "R&D에 철저한 경쟁체제를 도입하되 마음놓고 창의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혁신 연구 분위기를 조성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전략기획단의 핵심 브레인 역할을 맡을 MD 선정과 관련해 그는 "MD가 정확히 5명인지, 6명인지 확정은 안됐으나, 이 사람들이 지식경제 R&D를 책임져야하는만큼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제대로 할 사람을 선정할 것"이라며 "창의성, 독창성, 위험감수 능력, 리더십, 타조직간 연계력 등을 고루 갖춘 사람이 필요하며, 최근 일부 인터뷰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 기업경험자, 비기술자인 인문학자 등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추구하려는 위험감수형 R&D 방향과 먹거리 사업발굴형 R&BD는 상충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반드시 사업화하는 기술이 아니더라도 사업화를 염두에 둔 `살아있는' 기술을 연구하겠다는 것"이라며 "기술을 위한 기술개발은 아니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R&D전략기획단의 역할론에 대해선 "큰 틀의 국가 R&D 방향은 국과위에서 하고, 전략기획단은 산업에 관련된 원천 응용기술 R&D 방향 등 지경부에 한정하는 것"이라며 "다만 국과위에서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제안할 수는 있을 것"이라 답했다.

산학연 연구소간 융합형 R&D를 추진하기에는 기존 연구소간 벽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일례로 초빙교수로 있는 모 대학의 연구소만 79개라는데, 철옹성 같아 교류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며 "하지만 출연연, 학교, 대기업 등이 마음만 먹으면 그런 문제는 사라질 것이고, 이들이 소통하면 엄청난 시너지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삼성이 `황의법칙'을 폐기하려 한다는 주장에 대해 그는 "그런 이야기는 들은 적 없고, 맞지 않으면 쓰지 않으면 그 뿐이지만, 국제적으로 다 인정하는 것"이라며 "아이폰만 봐도 4G제품에선 64GB가 기본이고, 다음엔 128GB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하는 등 항상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게 돼 있고, 그런 의미에서 법칙은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를 퇴직한 뒤 최근 1년여간 미국 대학과 기업 첨단연구소들과 석학들을 찾아다녔고, 일본에 있으면서 태양광 등 에너지기술 등을 연구했으며, 국내 대학 강연 활동 등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여러 차례 단장직을 고사했으나, 갖고 있는 경험을 국가 R&D의 초석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은 일이라 생각해 결심하게 됐다"고 단장직 수락 배경을 설명했다.

김승룡기자 srkim@

◆사진설명 : 황창규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 초대 단장이 21일 경기도 과천 종합정부청사 지식경제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IT기술과 자동차, 조선, 원자력 등 '융복합'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김동욱기자 gp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