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C-TIPS

중국 신화, 들여다보면 정치성 농후해 정재서 교수, ‘중국 신화의 세계’ 강연

중국 신화, 들여다보면 정치성 농후해 정재서 교수, ‘중국 신화의 세계’ 강연 2010년 04월 12일(월)

인문학과 과학이 서로 협력, 미래를 만들어가는 인문강좌 행사가 최근 줄을 잇고 있다.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행사는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는 ‘석학과 함께 하는 인문강좌’. 학문 간 경계를 넘어, 세상과 대화를 시도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엿보이고 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석학들이 진행하는 인문강좌를 연재한다. [편집자 註]

석학 인문강좌 서양에 그리스·로마 신화가 있다면 동양에는 중국 신화가 있다. 서양문화를 배우려면 그리스 신화를 읽어야 하듯 동양 문화를 알기 위해서는 중국 신화를 읽어야 한다. 그러나 중국 신화는 등장인물서부터 생소하다.

그리스·로마 신화 하면 제우스, 헤라, 아프로디테, 아폴론 등이 줄줄이 떠오르는데, 중국 신화는 누구 하나 선뜻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 신화를 주의해 읽다 보면 동·서양 신화의 큰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10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석학과 함께 하는 인문강좌’에서 정재서 이화여대 교수(중문학)는 ‘중국신화와 상상력의 정치학’이란 주제로 중국 신화의 세계를 소개했다.

▲ 10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석학과 함께 하는 인문강좌' 

중국 신화는 저명한 신 반고(盤古)가 세계를 창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천지(天地)의 혼돈스러움이 계란과 같았는데 반고는 그 속에서 생겨나 1만8천년을 살았다. 그리고 죽음에 이르러 온 몸을 변화시켜 세상 만물을 창조해낸다.

반고의 세계창조 이후 신들의 세계가 도래한다. 다섯 명의 대신(大神)들이 이 세계를 다섯 방향으로 나누어 분할 통치하는데 그들이 곧 오방신(五方神)이다.

동방은 나무의 기운이 왕성한 곳이었다. 그곳을 지배하는 큰 신은 태호(太皥)인데, 보좌 신인 구망(句芒)이 그림쇠를 들고 봄을 다스렸다. 남방은 불의 기운이 왕성한 곳이었다. 그곳을 지배하는 신은 염제(炎帝)인데 보좌 신인 축융(祝融)이 저울을 들고 여름을 다스렸다.

중국신화에 음양오행설 첨가

중앙은 흙의 기운이 황성한 곳이었다. 그곳을 지배하는 큰 신은 황제(黃帝)인데 보좌 신인 후토(后土)가 노끈을 쥐고 사방을 다스렸다. 서방은 쇠의 기운이 왕성한 곳이었다. 그것을 지배하는 신은 소호(少昊)인데 보좌 신인 욕수(蓐收)가 곱자를 들고 가을을 다스렸다.

북방은 물의 기운이 왕성한 곳이었다. 그곳을 지배하는 큰 신은 전욱(顓頊)인데 보좌 신인 현명(玄冥)이 저울추를 들고 겨울을 다스렸다.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맏형 제우스가 하늘을 다스리고, 동생 포세이돈과 하데스가 각기 바다와 지하세계를 분할 통치하는 것과 비교해 중국의 신들은 다섯 방위에 따라 세계를 분할 통치한다.

▲ 반고(盤古) 상. 중국신화에서 세계를 창조했다. 
그런데 다섯 방위, 즉 오방(五方)은 단순한 방향과 공간이 아니다. 다섯 가지 우주의 원소이자 작용원리이며, 또한 그것들과 상관된 계절이기도 하다. 이른바 고대 중국의 우주론인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의해 신들의 통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내용 속에서 중국 신화가 “원시 시대에 출현한 것이 아니라 음양오행설이 우주를 설명하고 있던 후대에 과거 신화를 각색해 빚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신들의 탄생 이야기다. 황제(黃帝)의 출생과 용모에 대해 “큰 번갯불이 북두성을 감돌다가 들녘을 비추는 것을 부보(附寶)가 보고 감응해 임신을 했다”고 전하고 있다. 염제(炎帝) 출생과 관련해서는 “신령한 용을 보고 감응해 염제를 낳았는데, 사람의 몸에 소의 머리를 하고 있었다”고 전한다.

그리스·로마 신화에서는 신의 부모 모두 신의 혈통을 지녀야 하기 때문에 그리스·로마 신화 범주에서 보면 이들은 신이 아니다. 영웅일 뿐이다.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 있어 그리스에서는 엄격함이 있었던 반면 중국에서는 그 구분이 느슨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스 신들이 인간으로서 도달할 수 없는 절대적 존재였다면 중국의 신들은 인간이 노력해서 달성할 수 있는 상향적, 연속적 존재였다.

중국신화에서 반인반수는 신성한 모습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은 신들의 모습이다. 중국의 신들은 대체로 반인반수(半人半獸)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리스·로마 신화의 신들은 모두 완전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다. 특히 염제는 ‘사람의 몸에 소의 머리’를 하고 있는데, 그리스·로마 신화에서는 신이 아닌 식인 괴물 미노타우르스가 이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인간 중심 사고 속에서 동물성을 폄하했던 그리스와는 달리 중국에서는 자연과의 일치를 꿈꾸면서 자연의 생동하는 표상인 동물을 긍정적, 신성한 존재로 간주하고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관심을 둬야 할 부분은 훌륭한 임금에 대한 이야기다. 즉 요(堯), 순(舜) 등 이른바 고대 성군들이 선양(禪讓)이라는 방식으로 사이좋게 왕권을 교체했다는 상상을 초월하는 아름다운 내용들이 그것이다. 성군 순의 신화는 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요는 천하를 염려했는데 어려운 백성들에 대해 더욱 신경을 썼다. 백성들이 죄를 짓는 것을 마음 아파했고, 그들이 제대로 살아가지 못할까 근심했다. 어떤 사람이 배고프다고 하면 ‘이것은 내가 그를 주리게 한 것이다’라고 했으며, 어떤 사람이 추위에 떨면 ‘이것은 내가 그를 춥게 한 것이다’라고 했으며, 어떤 사람이 죄를 지으면 ‘이것은 내가 그를 죄에 빠뜨린 것’이라고 했다.”

▲ 정재서 이화여대 교수(중문학) 
요는 선정을 다한 후 노쇠해 당시 명망 있던 은사였던 허유(許由)에게 왕위를 전하려고 했으나, 거부당한다. 그래서 다시 적임자를 찾던 중 순이란 사람을 발견한다. 순이 효행이 뛰어나고 성실하다는 중론을 듣고 마침내 순에게 임금 직을 양위한다. 순에 효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순의 아버지 고수(瞽叟)는 장님이었다. 순의 어머니가 죽자 고수는 다시 아내를 얻어 상(象)을 낳았는데, 상은 교만했다. 고수는 후처와 그 아들을 사랑했고 항시 상을 죽이려 했다. 순은 피했지만, 작은 과실이 있을 경우는 벌을 받았다. 아버지와 계모, 의붓동생을 섬기고 거둠에 날로 성실하고 게으름이 없었다.”

순은 즉위 후에도 놀라운 효심과 우애를 발휘, 완악한 가족들을 잘 대해줘 마침내 그들을 개과천선의 길로 이끄는 인간승리를 이루어낸다. 또한 어질고 부지런한 성품으로 백성들을 사랑하고 좋은 정치를 펼쳐 요와 다름없는 태평성대의 군주가 됐다.

그런데 순의 만년은 어두웠다. 남방을 순행하다가 창오(蒼梧) 땅에서 객사했는데, 비보를 듣고 애통해하던 두 왕비는 상수에 스스로 몸을 던져 후일 상수의 여신으로 거듭 태어난다. 그리고 우(禹)가 왕위를 계승하는데 문제는 순의 이미지에 걸맞지 않는 만년의 돌연한 비극 이야기다.

요순 시대 격앙가와 남풍가는 후대에 지어진 위작

정 교수는 비극 전까지 지나칠 정도로 완벽하게 짜여 진 순의 효행담이 돌연히 비극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대해 이를 설명해줄 짤막한 언급들을 제시했다.

“요의 덕이 쇠하여 순에게 유폐되었다. 순은 요를 유폐하고 다시 단주(丹朱)를 연급시켜 부자가 서로 보지 못하게 했다.”(竹書紀年) “순은 요를 핍박했고, 우는 순을 핍박했다.”(韓非子) “구의산은... 또한 말하기를 순이 아홉 개의 봉우리를 보며 우를 의심하고 슬퍼했는데... 이로 인해 그것을 ‘의(疑)’라고 했다”(九疑山圖記)

이런 언급들은 오늘날 전해지는 순에 대한 성군으로서의 완벽한 이미지 이면에 감추어진 어두운 현실을 암시하는 듯 하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

요와 아들 단주를 각기 유폐시켜 부자가 상면도 못하게 해놓았다는 문구는 순의 효행을 의심하게 하는 대목이며, 순이 요를 핍박하고 우가 다시 순을 핍박했다는 문구는 요, 순, 우 3자가 사이좋게 왕위를 넘겨주고 받았다는 선양의 실상을 의심하게 만든다는 것.
더욱이 순이 객사한 현장에서 구의산을 바라보면 우를 의심하고 슬퍼했다는 문구는 순의 객사와 두 왕비의 익사 등 잇따른 횡사가 우로부터 비롯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추측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강력한 세습 왕조가 성립되기 이전, 고대의 권력교체는 거의 예외 없이 격렬한 투쟁과 폭력을 수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정황이었다면 중국 신화에 있어 선양은 사실상 폭력적인 권력교체를 미화한 ‘신화 만들기(myth making)'의 산물이 아니었는지 추측해 볼 수 있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

정 교수는 중국에서 이처럼 신화 만들기가 필요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유교의 영향력을 언급했다. “전국 시대 이후 한(漢) 대에 이르러 국교로 자리매김한 유교에서는 그들의 이념을 구현한 모범적인 군주와 잘 다르려진 국가 모델이 필요했고, 이에 따라 신화적 인물에 대한 유교적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졌다”는 것.

완벽하다 못해 작위적인 느낌까지 주는 순의 효행담이 그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문학사적 측면에서 이런 입장은 지지를 받고 있는데, 요순시절에 지어졌다는 ‘격양가(擊壤歌)’나 순이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지었다는 ‘남풍가(南風歌)’ 모두 후대 유학자들에 의해 지어진 위작임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고 말했다.

이강봉 편집위원 |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10.04.12 ⓒ Science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