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코리아/문화콘텐츠와 석학

[특강]현대 문화콘텐츠산업의 이해

[특강]현대 문화콘텐츠산업의 이해

제 1 강. 문명전환기 해외 석학 전문가의 통찰

1-2. 하이컨셉의 시대

지난 4월 9일 국회에서는 창조경제특위(위원장 국회 이한구의원) 주최의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간 부문 의견 수렴 공청회’가 있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순종 서울대 미대 학장(전국 미술대학 학장 협의회장)께서는 “창조경제의 핵심 , 디자인” 주제의 발표를 하였습니다.

저로서는 이순종 교수님의 '국가디자인정책에 대한 그랜드 플랜'이 필요하다는 혼신의 힘을 다하는 발표를 감동적으로 경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순종 학장께서는 발표의 서두에서,

‘다니엘 핑크’의 ‘미래에 다가올 하이컨셉의 시대에는 기술에 나아가 디자인과 예술, 감성을 아우르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 기술의 시대는 끝났다. 미래사회는 예술, 창의, 개념을 개발하는 인재가 필요한 시대이다.’

‘산업시대는 생산 노동자가, 정보화시대는 혁신 지식인이, 창조경제시대에는 창의적인 예술가, 디자이너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진다.’ 는 말씀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디자인은 제품과 기업을 혁신하며, 대표적 사례로

Louis Vuiton(VMH)의 경우, 수입 5,550억 불(한화 약 600조원) 유럽 내 1500만개 일자리 제공 등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셨습니다.

애플, 삼성, 현대 기아 등도 이미 '디자인 씽킹'의 중요성에 대해 기업의 핵심 가치로 내세우고 있으며,

이렇듯 예술과 디자인이 보다 중시되는 ‘하이컨셉의 시대’에 이미 우리 사회는 접어든 셈입니다.

저로서도 그 동안 다니엘 핑크의 하이컨셉, 하이터치의 시대에 대한 이야기를 즐겨 해 왔습니다.

다니엘 핑크와 만난 인연과 임팩트,

그가 ‘새로운 미래가 온다’ 저서를 통해 말하고 있는 ‘하이컨셉, 하이터치의 시대’ 의 맥락과 저로서 그간 실천해 온 “문화콘텐츠 시대”의 말하고자 하는 맥락은 정확히 일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의 “미래사회는 예술, 창의, 개념을 개발하는 인재가 필요한 시대”에서

'개념의 시대'라는 관점에서는 미래 정보화 시대 이후를 상상하면서 개념이 창안된 대표적 사례가 바로 “문화콘텐츠”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한, 지난 2005년 ‘새로운 미래가 온다’ 저서를 통해 발표하였지만,

한국적 상황을 테스트 베드로 통찰을 얻었을 것으로 크게 짐작이 되는 것이며,

이미 문화콘텐츠 개념 창안은 그 보다 훨씬 앞서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는 국가의 양대 위기(97년 IMF위기, 99년 IT벤처버블위기) 상황에서 이를 국면돌파하기 위한 창조대안으로 ‘콘텐츠’를 새롭게 개념화하여 제시하고

‘문화콘텐츠’ 개념을 창안하여 그 생태계 조성에 매진한 바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초창기 모든 상황에 대해 우리 사회의 이 분야를 당시 함께 하신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저로서는 국가경제의 양대위기 상황에서 우리 사회 누군가의 집중된 국면돌파의 수 년 동안의 노력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데 사실상 결정적 기여'를 했다는 점을 생각하게 됩니다.

국가경제의 양대위기 상황, 지금 돌아보아도 자칫 그대로 방치했더라면, 시계제로의 상황으로 빠져들었을 가능성도 적지 않았기에..

문화콘텐츠 개념을 창안하고 당시 우리 역사와 민족의 장래를 깊이 생각하면서 그러한 집중된 노력을 하게 된 일련의 과정과 성과에 대해 하나님께 모든 영광과 감사를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니엘 핑크는 ‘새로운 미래가 온다(A Whole new mind, 2005)’에서 ‘개념의 시대를 강조하면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것들에 대해 독창적이고 감각적이며, 큰 그림을 그려낼 수 있는 능력을 기반으로 세워진 경제와 사회, 정보화시대 다음으로 나타나는 후계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다니엞 핑크는‘하이컨셉은 단순한 개념의 정의가 아니라 기존과 전혀 무관한 것과 결합하고 본질을 인식하여 감성적으로 의미부여하는 우뇌 융합 크리에이티브’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현대 문화콘텐츠산업의 이해”에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참으로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해외 석학 전문가 미래학자의 통찰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는 우리 모두에게 많은 시사점과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특강]현대 문화콘텐츠산업의 이해

문명전환기 해외 석학 전문가의 통찰 
디지털문명전환기 한류문화콘텐츠 등장
한류 문화콘텐츠와 지식체계의 의의 
한류 문화콘텐츠성공의 조건과 과정
한류 문화콘텐츠와 국가발전 전략
한류 문화콘텐츠와 문화창조리더쉽
문화콘텐츠와 기업, 개인의 부의 미래
문화콘텐츠 창조프로젝트와 실행전략

강사: 전충헌 콘텐츠코리아 회장

약력: 
- 문화콘텐츠 개념 창안, 문화콘텐츠 창시자 
- 최초 대학 문화콘텐츠 순회 강연 수행(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이화여대, 홍익대 등)
- ‘문화콘텐츠 전략기획론’(글누림) 저자
- 지난 국가IMF위기, IT벤처버블위기 상황에서, 당시 창조대안으로 ‘콘텐츠’를 우리 사회에 제시드리고 초창기 콘텐츠 지식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해 매진
- 한국연구재단 '콘텐츠가치평가..' 공동 연구 논문 발표
- 2010년 2월 서울대 경제학공동학술대회에서 ‘창조경제 문화콘텐츠’발표. 
- 교육부 KERIS, 광주교대 ‘왜 문화창의인재인가?’ 주제 강연
- 싸이 강남스타일 주제 특강 STEPI와 강남경제포럼. ‘강남스타일 이후 한류문화콘텐츠 지향점’ 주제 강연 통해 강남스타일 이후 한류 대안적 방향성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