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 인터뷰/명사

TV ‘남자의 자격’ 합창단 기적 이끈 박칼린 인터뷰 [중앙일보]

TV ‘남자의 자격’ 합창단 기적 이끈 박칼린 인터뷰 [중앙일보]

2010.10.02 01:58 입력 / 2010.10.02 02:14 수정

“사람이 안 돼 있으면 실력 있어도 결과 나빠”
칼같은 카리스마, 인자한 리더십

뮤지컬 음악감독 박칼린 신드롬이 일고 있다. 그의 부드러우면서 강한 리더십이 화제다. KBS ‘남자의 자격’ 합창단이 기폭제가 됐다. [조용철 기자]
이 여자, 요즘 대한민국에서 가장 뜨겁다. 지난 주말 그와 오합지졸 아마추어 합창단이 만든 작은 기적은, 오랜만에 TV 시청자들을 흠뻑 울렸다. KBS ‘남자의 자격’(이하 남격) 합창단을 지휘한 음악감독 박칼린(43)이다. 소통과 신뢰 속에 남격 합창단은 마침내 ‘하모니’를 이뤘고, 대회가 열린 마지막 방송은 눈물바다가 됐다. ‘칼린쌤’이 보여준 강한 카리스마와 엄하면서도 따뜻한 리더십은 ‘박칼린’ 학습 열풍으로까지 이어졌다.

박칼린은 국내 뮤지컬 음악감독 1세대다. 한국인 아버지와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자랐다. 1995년 28세에 뮤지컬 ‘명성황후’ 음악감독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이후 국내 뮤지컬 산업의 시스템 구축에 일조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청담동 킥뮤지컬스튜디오에서 그를 만났다. 그가 강의하는 뮤지컬 아카데미다. 인터뷰 당일은 그가 음악 수퍼바이저로 참여한 뮤지컬 ‘틱틱붐’ 개막일이기도 했다.

-박칼린 신드롬이 일고 있다.

“뮤지컬을 20년 했는데 다른 것으로 알려지니 다소 아이러니하다. 나는 늘 똑같다. 다만 이번 ‘사태’가 벌어지면서 그간 간직해온 몇 가지 철학이 살아남은 걸 확인하게 돼 기쁘다. 결국 일은 사람이 한다는 거, 사람과 사람의 관계, 진심은 언제든 통한다 같은 것들 등등.”

-예능프로 출연에 망설임은 없었나.

“PD에게 진짜 목적이 9월 3일 거제도 합창대회 맞느냐고 거듭 물었다. ‘사전 구성도 없고 아무 요구도 않겠다. 이건 예능이 아니고 다큐’라고 답하더라. 첫 미팅 3시간 중 2시간은 그에 대한 확답을 듣는 거였다. ”

-개인적으로 ‘남격’ 합창단은 어떤 의미가 있나.

“이런 아마추어를 데리고 어디까지 할 수 있을까가 하나의 도전이었다. 사람들을 잘 살폈다. 어떻게 짝을 맺어주면 분위기를 흐리지 않으면서 전체를 잡을 수 있을지 보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사람들이 바뀌기 시작했다. 코미디 때문에, 아니면 자기를 알리려 튀고 까부는 모습이 사라졌다. 내가 못하면 남에게 피해가 가는구나, 상대가 연습을 많이 해오니까 나도 열심히 해와야겠다, 이런 믿음이 생긴 거다. 내게 ‘남격’은 그저 방송프로가 아니다. 내가 감독한 하나의 작품이다.”

-‘박칼린 리더십’이 화제다. 소통과 신뢰, 자율을 강조하는 동시에 각자의 책임감을 일깨우고, 엄격했다가 ‘사랑합니다’ ‘I 믿 You(나는 너를 믿는다)’라며 끌어안기도 하고.

“평소 뮤지컬을 하면서 소통과 신뢰, 사람 사이에 위아래 없다는 걸 강조해왔다. 뮤지컬은 모든 것을 최소로 압축한 장르다. 연주자 수만 해도 오케스트라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다. 빠져도 되는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다. 모두가 똑같이 중요하다. 배우들에게 늘 스태프를 소중히 여기라고 말한다. 나도 직원들을 직원이라고 안 부르고 군단이라고 부른다. 평소 선생님, 이러면서 굽실거리는 사람들은 잘 안 쓴다.”

-좋은 리더의 역할은 뭘까.

“리더는 자기가 선택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다. 따라주는 사람이 있어야 되는, 남이 만들어주는 자리다. 리더의 역할은 사람들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사람들을 잘 배분하는 거다. 20년 일하면서 사람 보는 눈이 생긴 것 같다. 오디션도 3분이면 끝이다. ‘남격’에서도 그랬지만 실제 오디션 때도 기술보다 인격·인성을 본다. 사람이 안 돼 있으면 아무리 실력 있어도 결과가 안 좋다. 나는 목표를 정하면 밖에서 어떤 게 날아와도 무시한다. 필요 없는 것을 모르는 척하는 힘이 있다.”(웃음)

-리더십의 모델이 있나.

“어려서 부모님께 받은 영향이 크다. 딸만 셋이고 아버지가 한국 사람이지만 어려서 집에서는 차별이라는 게 없었다. 여자여서, 어려서 안 되는 게 없었다. 모든 게 실력대로, 실력순이었다. 부모님이지만 틀렸다고 생각하면 서슴없이 얘기하게 하셨고, 어떤 일이든 충분히 미리 설명해주셨다. 충분한 설명을 들으니 매사 불평이 없었고, 세상에 말로 해서 안 될 일이 없다는 믿음도 생겼다. 그렇지 않은가. 진심으로 말로 소통해서 안 되는 일이 있는가.”

-‘명성황후’ 이후 국내 뮤지컬 음악 감독의 계보는 대부분 여성이다. 해외에서도 이례적인 일이라는데.

“역사의 단추를 잘 못 끼운 탓이 아닐까(웃음). ‘명성황후’ 때 20대였는데, (자)존심 때문에 20대 여자 밑으로 들어와 배울 남자들이 없었던 거다. 여자들이 줄을 이으면서 남자는 뮤지컬 음악감독 안 하는 것 같은 풍토가 돼버렸다. 물론 최근에는 바뀌었지만.”

-당시로는 파격적인 등장이었다.

“그전엔 음악감독이라는 인식이 아예 없었으니까. 오디션 제도도 처음 만들자고 제안했다. 나이 많은 배우들이 ‘어린 여자 앞에서 오디션 보라니 말이 되냐’며 화내기도 했다. 그땐 뮤지컬 배우들이 노래 레슨 받는 것도 없었다. 그저 끼 있고 노래 좀 한다 싶으면 뮤지컬 배우 하는 줄 알던 시절이니까. 어린 여자가 이런 시스템을 만들려 하니까 반발이 심했다. 난 차별 같은 건 전혀 경험 못하고 자랐는데 그때 한국사회에서 나이라는 게 얼마나 대단한 값어치인지 절감했다.”

-마녀라는 별명도 있었다.

“초기에 뮤지컬 배우들한테 보컬 레슨 받아라, 춤도 배워라, 공부해라 하도 닦달하고 다녀서 얻은 별명이다. 한동안 나는 ‘필요하기는 하지만, 껄끄럽고, 그렇다고 자를 수도 없는 이방인’ 같은 존재였다. ‘남격’ 마지막 회에 단원들과 함께 울 때 자막으로 나갔던 ‘그간 이방인으로 느꼈던 설움’이라는 게 그런 뜻이다. 혼혈이란 점은 특별한 한계가 되지 않았다.”

-뮤지컬과는 언제 인연을 맺었나.

“미국에서 초등학교 때부터 줄곧 오케스트라를 하고 뮤지컬 배우를 했다. 오케스트라에서는 첼로주자였는데 지휘자 선생님은 잠깐 자리를 비우면 꼭 내게 지휘봉을 맡기시곤 했다. 어려서 농구·승마도 했다. 팀을 짜서 소 500마리를 몰아본 적도 있다.”(그는 캘리포니아 종합예술대학을 거쳐 서울대 국악과 대학원에서 작곡을 전공했다).

-다음 작품 계획이 있다면.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왜 브로드웨이에 가지, 불모지에서 사서 고생이냐는 말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남들이 가지 않은 길에 도전하는 게 좋다. 차기작으로는 정말 맘 맞는 사람들끼리, 남의 돈 안 쓰고, 아주 작은 규모로, 일 하는 게 곧 노는 것인, 그런 휴식 같은 작품을 하고 싶다.

 -새로 맡은 뮤지컬 ‘틱틱붐’을 소개해 달라.

“파격적 형식과 음악으로 뮤지컬의 틀을 깨며 반향을 불러일으킨 ‘렌트’의 극작가 조나단 라슨의 유작이다. 작은 무대에 젊음의 폭발력을 담은 록음악, 주연배우 세 명의 동등한 역할분배 등이 흥미로울 것이다.”

◆뮤지컬 ‘틱틱붐’=서른을 앞둔 젊은이들의 꿈과 패기를 소재로 한 록뮤지컬. 11월 7일까지. 충무아트홀. 1544-1555

글=양성희·최민우 기자
사진=조용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