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AR VR

<글로벌미디어 막는 방송규제와 현실>-1

<글로벌미디어 막는 방송규제와 현실>-1

광고
업계, 시장실패 풀어낼 체계적 대응 주문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기자 = 방송통신위원회가 글로벌미디어 사업자를 육성한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국내 사업자의 취약한 자본 규모와 다층적인 규제 환경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TV 방송, DMB, IPTV 등 나날이 다원화하고 있는 방송 플랫폼에 대한 제 각각의 규제와 턱없이 부족한 방송광고 재원 등 열악한 방송환경이 국내 방송시장의 정상화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전문가 및 관계자 대다수는 신문과 방송 겸영 금지를 완화한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채널 도입 등 신규 자본 유입만으론 한국 방송산업의 정체 상황을 뚫을 기폭제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공영과 사영 논리의 어정쩡한 혼재, 지상파 방송의 독점적인 콘텐츠 지배력, 2중 3중으로 얽힌 규제에 따른 자본 확대의 어려움 등을 없앨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때 비로소 `미디어 빅뱅'의 물꼬가 트일 것이란 지적이다.

최시중 방통위원장도 "국내 방송사업자가 글로벌 미디어로 도약할 수 있도록 소유와 겸영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공언해 앞으로 방송규제 완화 방안에 대한 기대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방송시장 상황은 기대보다는 우려를 하게 한다.

국내 방송사업자들은 취약한 국내 사업자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에 그리 많은 시간이 남아있지 않다는 초조감을 토로한다.

`글로벌 미디어' 도약을 추진하는 CJ미디어 관계자는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에 따라 방송시장 개방이 대세인 만큼 앞으로 2~3년 내에 글로벌 미디어들의 국내 시장 진출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들에 맞설 수 있는 경쟁력과 규모를 갖추지 못한다면 국내 시장은 글로벌 미디어의 `쓰나미'에 먹힐 것"이라고 말했다.

타임워너, 디즈니, 뉴스코프 등 세계 유수의 글로벌 미디어의 연간 매출 규모는 40조~60조원에 이르지만 국내 최대 방송사인 KBS의 매출은 1조원대에 머물고 있다.

(계속)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