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융합

문화콘텐츠 창조산업과 C-P-N-D 생태계

문화콘텐츠 창조산업과 C-P-N-D 생태계

 

저는 '문화콘텐츠창조산업클러스터 범주화의 과제'에 대해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드리고 '문화콘텐츠 창조경제를 추동하는 3대 성장동력'에 대해 말씀을 드린 바 있습니다.

 

저는 문화콘텐츠 창조경제를 추동하는 3대 성장동력으로,

 

1.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발성에 대한 가치 인식과 재설정.

 

2. 콘텐츠 저작권과 IP(Intellectual Property)에 대한 가치 재인식.

 

3. 콘텐츠 정책 리더쉽과 크리에이티브 인사이트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드린 바 있습니다.

 

 

다음으로 말씀드리고자 하는 문화콘텐츠 창조산업과 C-P-N-D 생태계주제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문화콘텐츠를 대한민국 창조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그 개념과 지식체계를 창안하게 된 배경과 과정은 이미 말씀드릴 바 있습니다만,

 

그 시대적 배경으로는 좀더 멀리 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제가 미약하고 부족하나마 '2010 서울대 경제학공동학술대회'에서 창조경제와 문화콘텐츠주제 발제를 통해 당시 우리 사회의 3D 아바타와 함께 애플 아이폰으로 상징되는 스마트 환경으로의 급속한 변화와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한 산업계와 학계의 이해 공감대 확대와 보다 지혜로운 정책 대응을 정책 당국에 제안드린 바 있습니다.

 

그러한 글로벌 시장 환경의 빠른 변동과 변화에 대해 제언을 드리게 될 때까지 사실 저로서는 문화콘텐츠 지식체계의 확립의 치열한 시간대와 몰입의 과정이 있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문화콘텐츠 지식체계의 근저에는 이른바 “CONVERGENCE, 융합이 자리 하고 있으며, 우리 사회의 디지털 융합의 역사적 시간대와 그 맥락을 함께 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1990년 대 초반 이후 시장과 현장, 생태계, 산업구조의 변화, 글로벌 트렌드 환경, 디지털문명전환기의 흐름을 공시적, 통시적,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통찰하고자 하는 집중적인 과정에서 개념 창안이 이루어진 것이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