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 인터뷰/전문가

한필순의 易之思之 창조산업 기반은 과학 아닌 감성

창조산업 기반은 과학 아닌 감성
작성자 : 보도국(907news)   등록일 : 2013-02-06 오전 11:21:32

한필순의 易之思之

[경인방송 더 스쿠프] 창조산업의 핵심은 제작기술이 아니고 창작기술이다. 창조가 과학과 기술로만 만들어지는 게 아니란 얘기다. 창조산업을 주도할 부처가 신설되는 건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창조산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없다면 세금잔치로 끝날 수 있다.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창조경제’를 주장했다. 야당인 민주당은 ‘사람 중심 경제’를 주요 경제정책으로 내세웠다. 두 정책의 공통점은 사람에 의해서만 가치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창조경제라는 말이 국내 정치인의 입에서 나오기 전 영국에서는 창조산업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1998년 영국 문화부는 ‘Digit al Britain’이라는 이름의 보고를 발간했다. 창조산업 전략보고서(The Creative Industr ies Mapping Document)다. 이를 근거로 2009년 1월 새로운 정책 방향으로 산업적 능동주의(Industrial Activism)를 반영한 정부 핵심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창조산업 성패는 방향설정이 관건

산업은 경제를 뒷받침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다. 산업활동의 발전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영국의 산업혁명 이후에 산업과 경제는 불가분의 관계가 됐다. 영국에서 수십년 전 창조산업에 대한 정의를 내린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우리는 창조경영을 국가의 핵심 전략으로 세운 영국을 검토해야 한다.

‘Digital Britain’은 영국 국민 모두에게 디지털 산업경제에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 접근권을 보호한다. 디지털로 발생하는 이익과 장점을 공평하게 활용하는 것이 목표다, 영국을 세계 디지털 지식경제의 선두국가로 세우려는 정책 방안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네트워크 인프라의 현대화 ▲디지털 콘텐트 지원사업 ▲서비스 산업에 대한 국가투자 ▲디지털 경제를 위한 투자의 활성화 ▲영국 고유의 콘텐트 생산 및 배급 ▲모든 국민에 공정한 접근성 부여 ▲온라인 공공서비스와 공공사업의 인터페이스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이다.

얼핏 매우 광범위하고 모호해 보인다.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오래 전 영국은 2차산업에서 벗어나 3차산업의 그림을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박 당선인은 공약을 통해 창의력ㆍ상상력에 과학기술을 접목한 창조경영 활성화를 강조했다. 과학기술 중심의 국정운영을 위한 전담부서 필요성도 역설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존 제조업 중심의 전통산업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다.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기술을 산업 전반에 적용하고, 활용하고, 융합하겠다는 게 박 당선인의 생각으로 보인다.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스마트 뉴딜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선거공약이 실제 수행하는 단계에서 보완과 수정이 될 것이다. 만일 창조경제의 기반을 창조산업에서부터 출발하겠다면 방향설정을 잘해야 한다. 다음 정권에서는 폐지되는 부처가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창조산업은 과학과 기술로부터 출발하는 게 아니다. 사람의 감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물론 게임소프트웨어ㆍ영화ㆍ만화ㆍ음악ㆍ디자인 등의 제작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원초적인 것은 제작기술이 아니고 창작기술이다.

철저한 분석으로 창조산업을 이끌어야

현재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정책 중 창조산업에 대한 정의와 방향이 옳은지 되짚어봐야 할 것이다. 과거 폐지된 부처를 다시 만들어 놓고 기존 부처에서 하는 일을 나눠먹기식으로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반복적인 시행착오로 인해 혼란과 낭비가 초래돼선 안 된다. 창조경제로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려면 기술의 단순함을 뛰어넘어야 한다. 사람•예술•감성과의 결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미래 기술의 생존력은 기술과 인간의 감성, 예술 등의 융합에 달려 있다는 얘기다.

창조산업이 미래 가치 창조의 주역이라는 것을 인식했다면 창조경제를 거창하게 논하기 전에 필요한 단계가 있다. 창조산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정책 대안 수립이다. 벤처육성ㆍ투자 활성화 등 세금잔치와 말잔치로 5년을 보내지 않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