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C-IP

버핏, 한국주식 팔고 中에 러브콜

버핏, 한국주식 팔고 中에 러브콜
"中경제 잠재력 뛰어나…부동산 버블이 복병"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그동안 개인적으로 투자했던 한국 기업 주식을 대부분 팔았다.

버핏은 2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소재 메리어트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개인적 투자 차원에서 2002~2004년에 20개 한국 기업 주식과 1개 미국 기업 주식을 사들였다"며 "그러나 한국 기업 주식은 지금 1개만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머지 기업 주식들은 모두 팔았다는 얘기다.

버핏은 한국 기업은 1997~1998년 외환위기 당시 재무구조를 개선하면서 5~6년 전까지 한국 주식의 가격이 상당히 저렴했다고 설명했다.

버핏은 당시 이들 한국 기업들의 주식이 수익잠재력이 뛰어났지만 값이 싸 자신의 운명을 바꿨을 정도였다고 덧붙였다. 매입 당시에는 싸게 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익을 내자 매각한 셈이다. 가치투자로 유명한 버핏이 한국 주식을 대부분 판 것은 이제 한국 주식이 그의 투자대상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한국 주식 주가가 오를 만큼 올랐다는 얘기다.

버핏은 한국에 대한 추가 투자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좋은 주식이 있다면 살 수 있다"는 원론적 답변만 했다.

이는 지난해와 상당히 달라진 모습이다. 그는 지난해 기자회견 때 "한국 경제가 대단한 성과를 이뤄냈고 몇 개의 한국 업체들을 투자대상으로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에 대한 투자 의지를 내비쳤던 셈이다. 찰리 멍거 버크셔 해서웨이 부회장은 포스코의 지배구조에 대해 "포스코가 과거 일본으로부터 기술을 지원받아 세계 최고 철강회사가 됐다"며 "포스코의 경영은 더 개선할 점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3월 아시아 방문길에 중국과 인도 등 국가와 일본을 방문할 계획을 밝히면서 다른 아시아 국가에 대한 투자 확대 가능성도 시사했다. 버핏은 "중국은 자본주의를 잘 받아들여 성공했다"며 "중국의 잠재력은 뛰어나다"고 극찬했다. 전날 주총장에서 인도에 대해서도 "향후 20년 동안 인도인들은 더 잘 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버핏은 중국 경제를 극찬했지만 부동산시장의 버블 가능성에 대해서는 염려했다. 특히 멍거 부회장은 중국의 부패문제는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버핏의 `중국 사랑`은 주주총회 부대행사에서도 돋보였다. 주주총회 날인 1일에는 주총장 옆에 마련된 전시장에 중국 전기자동차회사인 BYD관을 크게 마련했다. 실제 자동차까지 들여놓아 주주들이 직접 타볼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한국 기업은 대구텍 1개만 전시장에 보였다. 그것도 대구텍의 모회사인 IMC 전시관에 여러 개 기업 중 하나로만 전시됐다.

버핏은 2일 버크셔 해서웨이 소유의 보석회사 보세임 매장 옆에서 미국 청소년 탁구대표선수인 대만계 아리엘 싱(14)과 간이 탁구경기도 가졌다.

[오마하(美네브래스카주) = 김명수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