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세미나//지역 축제

지구촌 명품축제로 만들자

지구촌 명품축제로 만들자  

[대백제의 부활-이제부터]문화학술 인프라구축 우선


데스크승인 2010.10.22  지면보기 |  3면 박재현 기자 | gaemi@cctoday.co.kr    


‘2010 세계대백제전’을 계기로 백제문화 재정립과 이를 통해 ‘지구촌 명품축제’로 육성해야 한다는 화두가 던져졌다.

충남도는 이번 대백제전 성공을 위해 가능한 모든 매체를 동원해 백제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전달하고 사비궁 복원을 통해 백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등 ‘백제 브랜드’ 정립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이다.

또한 369만 명의 관람객이 대백제전을 찾은데다, 경제유발효과 역시 2399억 원에 달하는 등 성공적인 축제로 도약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사비미르, 사마이야기 등 수상공연을 통해 백제문화 콘텐츠의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 매우 고무적인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적 기록을 자축하기에 앞서 몇 가지 극복해야 할 과제가 있다는데는 이론이 없다.

먼저 성공 축제였다는 점에 앞서, 지나치게 수치에 집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40억 원을 투입하는 등 도정 사상 최대의 축제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방문객 수와 경제적 파급효과 등 가시적 실적도 중요하겠지만, 다시 찾는 축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몇 명의 방문객이 왔는가 보다 몇 명의 방문객이 감동받았는지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는데 기인한다.

때문에 양보다는 ‘성공 축제’에 대한 질적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다.

특히 지역 문화예술에 대한 인프라 구축도 선결과제로 떠올랐다. 2년 여의 준비기간이 있었음에도 수상공연 등 주요 프로그램에 대한 충남지역 참여인사 비중이 적었기 때문이다.

이번 행사기간 연일 매진 기록을 세우며 관람객들에게 화제가 됐던 핵심 프로그램 모두 서울 중심의 연출진과 연기자가 주를 이뤘다는 것은 일종 ‘문화적 종속’을 의미하는 만큼, 서울 편중의 문화산업 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 백제문화의 대표 콘텐츠 개발을 비롯해 지역적 한계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개발이 요구된다. 부여에 재현된 사비궁과 금동대향로 등 유형문화, 수상무대에 한정된 수상공연을 제외하고는 백제를 배경으로 저작권을 요구할 만한 상품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영화를 비롯해 게임, 만화, 기념품, 캐릭터 등 공간적 제약 없이 백제 콘텐츠를 만날 수 있는 보다 세심하고 질적인 백제문화상품 개발은 수익성 창출의 보고(寶庫)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백제를 연구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과 노력도 필요하다. 현재 도내에는 백제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백제역사연구관 같은 성격의 학술 인프라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충남도가 추진 중인 ‘충남문화재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백제문화단지 운영권이 2013년부터 20년 간 롯데 측에 위임된다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자칫 민자사업의 특성 상 수익성을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면, 백제라는 문화가치가 경제논리에 함몰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축제가 끝났지만 충남도가 직면한 과제 또한 적지 않다. ‘성공 개최’에 만족하기 보다는 세계대백제전을 명실상부 지구촌 명품축제로 비상할 수 있도록 이제부터 산적한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가야 하는 것이 급선무다.

<끝>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충청투데이